라벨이 인문학인 게시물 표시

[하루 한 수 한시] ::시를 배우는 일::

이미지
::시를 배우는 일:: 시를 배우는 것은 참선을 배우는 것과 같아 셀 수도 없이 많은 세월을 간소하게 살면서 스스로 모든 것을 깨달은 뒤에 무심코 끌어낸 말들이 바로 초연한 세계라네                               - 송 오가 吳可<學詩詩>

거울 속의 자아: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과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
"나는 생각하지 않는 곳에서 존재한다" 자크 라캉(Jacques Lacan) 은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로, 그의 이론은 현대 심리학, 문학, 영화 이론,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출생 및 초기 생애:자크 라캉은 1901년 4월 13일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상류 중산층 가정에서 자랐으며, 가톨릭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교육 및 초기 경력:라캉은 파리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으며, 이후 정신의학으로 전공을 바꿔 연구를 이어갔습니다.1932년에는 그의 박사 논문인 '정신병적 환자의 자아 방어'를 발표하며 정신의학계에 이름을 알렸습니다. 정신분석 학계로의 진입:라캉은 1930년대에 정신분석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프랑스 정신분석 학회에 가입했습니다.그는 시그문트 프로이트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이론 체계를 발전시켰으며, 특히 '거울 단계' 이론으로 유명해졌습니다. 학문적 발전 및 영향:라캉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여러 중요한 강연과 저술을 통해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그의 작업은 심벌릭, 상상계, 진실계 등의 개념을 포함하며, 이는 정신분석학뿐만 아니라 철학, 문화 이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나중 생애 및 사망:라캉은 생애 후반기에도 활발한 강의와 저술 활동을 계속했습니다. 그는 1981년 9월 9일에 사망했습니다. 자크 라캉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그의 이론은 복잡하고 때로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제들을 다루면서도, 현대 사상과 문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라캉의 사상은 인간의 자아 정체성, 욕망, 그리고 언어와 실재 사이의 관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탐구합니다. 이 글에서는 라캉의 주요 이론들을 소개하고, 그것들이 현대 사회와 문화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하겠습니다. "'나는 생각하지 않는 곳에서 존재한다'라는 표현은 자크 라캉의

칼 융의 동시성 현상과 집단무의식

이미지
칼 융의 동시성: 양자역학과 무의식의 만남 카를   구스타프   융   카를 구스타프 융 은 스위스의 정신의학자로 분석심리학의 개척자입니다 .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가문의 전통을 이어받지 않고 바젤 대학교와 취리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정신과 의사가 되었습니다 .  부르크휠츨리 정신병원에서 일하면서 병원의 원장이었던 오이겐 블로일러의 연구를 응용해 심리학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이전 연구자들이 시작한 연상 검사를 응용하면서 자극어에 대한 단어연상을 연구하였습니다. 이 연상은 성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당시 학계에서 자주 금기시되고는 하였습니다. 처음에는 정신 분열증을 연구하다가 점차 정신 분석학에 흥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융은 인간의 정신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정신 구조를 통해 인간의 본질과 행동을 이해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칼 융의 무의식의 동시성 심리학자 칼 융(Carl Jung)은 복잡한 심리 이론을 개발했으며, 그 중 '동시성(Synchronicity)'은 특히 흥미로운 개념입니다. 융의 동시성은 외부 사건과 내부 심리 상태가 인과 관계 없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칼 융은 동시성을 두 사건이나 상황이 시간적, 공간적 연관성 없이도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할 때 발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인과관계가 아닌, 더 깊은 의미적 연결을 의미합니다.  융은 이러한 동기적인 사건들이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무의식과 현실 세계 사이의 깊은 연결을 보여준다고 생각했습니다. 칼 융의 동시성 | 일화 1930년대, 한 여성이 자신의 삶에 지친 상태에서 칼 융 박사에게 상담을 받습니다. 그녀는 황금 풍뎅이가 된 꿈을 꾸었고, 그 꿈에서 자신이 갇혀 있는 유리창이 열리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  그녀가 꿈에 대해 이야기하는 동안, 실제로 황금 풍뎅이가 창문을 통해 들어왔습니다. 이 사건은 융 박사가 동시성의 원리를 제안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집단 무의식 심리

후설의 현상학과 에포케(판단 중지)

이미지
행복한 삶을 위한 철학 ‘아타락시아’와 ‘에포케’ 후설 에드문트 후설 (Edmund Husserl, 1859-1938)은 현대 현상학의 창시자로 널리 알려진 독일의 철학자입니다. 그의 철학적 작업은 주로 의식과 경험의 본질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그는 이를 통해 현대 철학, 특히 인식론과 철학적 방법론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후설은 1859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현재 체코)의 프로슈니츠에서 태어났습니다. 초기에 수학과 과학에 관심을 가졌고, 레오폴트 크로네커와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와 같은 유명한 수학자들에게 영향을 받았습니다. 후설은 철학으로 전향하였고, 특히 프란츠 브렌타노와 칼 슈튀름프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후설은 나치 정권 하에서 학계에서 배제되었고, 그의 저작들은 위험에 처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제자인 마르틴 하이데거와 다른 이들의 도움으로 그의 철학적 유산은 보존되었습니다.   후설은 1938년 독일에서 사망했습니다. 후설의 현상학 후설은 현상학을 창시했으며, 이는 의식의 직접적인 경험과 그것이 내포하는 의미를 분석하는 방법론입니다.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은 여러 중요한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들은 현대 철학, 특히 인식론과 의식의 연구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후설의 현상학의 핵심 개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의도성 (Intentionality) : 후설에 따르면 의식은 항상 어떤 대상을 향해 있으며, 이를 '의도성'이라고 합니다. 즉, 모든 의식적 경험은 특정 대상에 관한 것이며, 이는 의식과 그 대상 사이의 기본적인 관계를 나타냅니다. 에포케 (Epoché) : 에포케는 세계에 대한 기존의 모든 가정과 판단을 중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현상학자들은 세계를 사전의 편견이나 가정 없이 순수하게 관찰하고 경험할 수 있습니다. 현상학적 감각 (Phenomenological Reduction) : 이 개념은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경험의 본질에 도달하기 위해 경험을 그 핵심으로 감축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들뢰즈의 변화와 차이의 철학

이미지
들뢰즈의 사유: 차이와 반복을 넘어서 들뢰즈의 변화와 차이의 철학 :: 들뢰즈(Gilles Deleuze) 는 현대 철학계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입니다. 그의 사상은 전통적인 철학적 경계를 넘어서며, 우리가 세계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방식에 근본적인 도전을 제시합니다. 이 글에서는 들뢰즈의 철학적 배경과 그의 주요 사상에 관해 탐구해 보겠습니다. 들뢰즈의 생애 및 학문적 배경 들뢰즈(1925년~1995년)는 파리에서 태어나 삶의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냈습니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중 ‘리세 카르노’에 재학했으며, 이후 파리 8대학의 교수를 맡기도 했다. 들뢰즈는 1995년 11월 자기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자살하였습니다. 그의 철학적 여정은 전통적인 철학적 주제를 넘어선, 독창적인 사상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의 철학은 주로 후기구조주의 및 비판이론 과 관련이 있으며, 철학적 개념을 재구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들뢰즈는 1968년 《차이와 반복》을 집필했고 1969년에는 《감각의 논리》를 저술했다. 미셸 푸코는 "아마도 어느 날 이 세기는 들뢰즈의 시대라고 불릴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들뢰즈는 이에 대해 "우리를 좋아하는 사람은 웃게 만들고 그 외의 다른 사람들은 격노하게 만들려는 의도를 지닌 농담이다"라고 말했다. 들뢰즈는 서양 철학의 전통적인 이론에 기반을 두면서도, 그를 뛰어넘는 새로운 사고를 추구했습니다. 그의 철학은 복잡성, 차이, 반복 등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개념적 접근을 제시합니다. 질 들뢰즈는 전통적인 ‘메타피지컬’ 구조에 대해 비판적이었습니다. 그의 주요 비판은 이러한 구조가 고정된 정체성, 이원론적 사고, 그리고 엄격한 구분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춥니다. 들뢰즈에 따르면, 전통적인 메타피지컬 구조는 현상을 단순화하고 고정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다양성과 변화의 본질을 간과합니다.   ※전통적인 ‘메타피지컬’ 구조는 주로 존재의 본질, 본질과 속성의 관계, 원인과 결과,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이 저물어야 그 날개를 편다

이미지
신화 속에서 펼쳐지는 지혜의 날갯짓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이 저물어야 그 날개를 편다." : 지혜의 상징과 그 의미 황혼이 내리고 어둠이 세상을 감싸는 순간, 고대 신화 속에서는 하나의 상징이 조용히 그 존재를 드러냅니다. 바로 미네르바의 부엉이, 지혜의 전령이자 밤의 수호자 입니다. 이 아름다운 상징에는 깊은 의미가 숨겨져 있습니다. 하지만 미네르바 는 누구이며, 왜 부엉이가 지혜의 상징이 되었을까요?   미네르바: 지혜와 전쟁의 여신 고대 로마 신화에서 미네르바는 지혜와 전쟁, 예술, 그리고 기술의 여신으로 숭배되었습니다. 그리스 신화의 아테나와 동일시되는 이 여신은, 머리에서 탄생한 제우스의 딸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네르바는 단순히 지식의 상징이 아니라, 지혜로운 전략과 신중한 판단의 화신이기도 했습니다. 그녀의 속성 중 가장 돋보이는 것은 바로 그녀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부엉이입니다. 부엉이: 지혜의 상징 부엉이는 그 고요하고 신비로운 모습으로 인해 오랜 시간 동안 지혜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 새의 눈은 멀리 보고, 밤에도 뚜렷하게 세상을 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상징적으로 깊은 통찰력과 미래를 내다보는 지혜를 의미합니다. 또한 부엉이는 조용하고 신중하게 움직이며, 그들의 행동은 계획적이고 전략적입니다.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이러한 특성을 통해 지혜와 신중함, 그리고 예지력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 후에만 날개를 편다.”:: 이 은유는 실제로 헤겔 의 작품에 속하며 그의 작품, 특히 "법철학"(1820)의 서문에서 발견됩니다. 헤겔의 역사와 철학, 지혜의 출현에 대한 은유적 문장으로 유명한 글을 남겼습니다. 헤겔의 변증법 헤겔의 철학과 사상은 아이디어가 충돌하고 병합(정립, 반정립, 종합)되어 현실을 형성합니다. 역사는 갈등이 발전을 낳는 논리적 전개의 이야기와 같습니다. 헤겔에게 있어서 마음은 세상을 형성하며, 진정한 자유는 사회 내에서, 특히 이성적인 국

안토니오 그람시::문화적 지배와 변혁의 힘

이미지
문화적 지배와 변혁의 힘 : 안토니오 그람시의 사상 여정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 는 20세기 초 이탈리아의 정치 이론가이자 문화 비평가로, 마르크스주의와 헤게모니에 대한 그의 독창적인 해석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사상은 정치, 문화, 역사, 그리고 이데올로기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람시의 생애, 그의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입장, 그리고 그의 주요 개념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것입니다. 안토니오 그람시의 생애 안토니오 그람시는 1891년 이탈리아 사르데냐 섬에서 태어났습니다. 가난한 가정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토리노 대학에서 현대사와 철학을 공부했습니다. 대학 시절부터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한 그는 1921년 이탈리아 공산당의 공동 창립자가 되었고, 당의 주요 지도자로 활동했습니다.  그는 '오르디네 누오보'(새 질서) 신문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특히 헤게모니 이론을 개발했습니다. 1926년 무솔리니 정권에 의해 체포되어 장기간 투옥된 그람시는 감옥에서도 많은 글을 썼으며, 이 글들은 '감옥 수고'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습니다.  1937년 건강이 악화된 그람시는 풀려난 후 곧 사망했습니다. 그람시 철학의 매력적인 세계로의 초대 안토니오 그람시의 철학은 사회 변화와 문화적 지배에 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그람시의 주요 개념인 ' 대항 헤게모니 ', 시민 사회, 문화적 지배를 중심으로 그의 사상을 살펴볼 것입니다. 1. 대항 헤게모니 : 지배 계급의 문화적 리더십 그람시는 헤게모니를 통해 지배 계급이 어떻게 사회적 동의와 지배를 유지하는지 분석합니다. 그에 따르면, 지배 계급은 단순히 경제적인 수단이나 강제만으로 지배하지 않고, 사회적, 문화적 가치와 신념을 통해 대중의 동의를 얻습니다. 2. 시민 사회와 국가: 두 가지 영역의 상호작용 그람시는 국가와 시민 사회를 분리하여 분석했습니다. 시민 사회는 학교, 가정,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불교: 내면의 평화로 가는 지혜의 길

[하루 한 수 한시] ::시를 배우는 일::

거울 속의 자아: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과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

구조주의 철학: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열쇠

칼 융의 동시성 현상과 집단무의식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의 세계: 인생의 의미를 찾는 여정

불광지기(不狂之氣)::오십년 세월의 여운 속에서 찾은 불변의 기개

비트겐슈타인의 삶과 철학

후설의 현상학과 에포케(판단 중지)